포항 중성리 신라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항 중성리 신라비는 2009년 경상북도 포항시 흥해읍에서 발견된 신라 시대의 비석으로, 신라 관등제, 지방 통치, 분쟁 해결 절차 등 신라의 정치, 경제,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이 비는 현재까지 발견된 신라비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되며, 글씨체는 예서로 분류된다. 2012년 보물 제1758호로 지정되었으며, 역사적·예술적·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국보 승격의 가치를 지닌다. 비문에는 왕경인이 현지인에게 빼앗은 재산을 돌려주라는 판결 내용이 담겨 있으며, 다양한 계급의 인물들이 등장하여 당시 신라 사회의 권력 구조와 관등제를 연구하는 데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증왕 - 천마총
천마총은 경상북도 경주에 있는 신라 시대 돌무지 덧널무덤으로, 천마도가 발견되어 이름 붙여졌으며 금관을 비롯한 많은 유물이 출토되어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 일부는 공개되고 있고, 천마도 속 동물이 기린이라는 주장도 있다. - 지증왕 - 포항 냉수리 신라비
포항 냉수리 신라비는 6세기 신라 시대에 제작된 비석으로, 촌락 간 재산 분쟁 조정과 율령 반포 내용을 담아 당시 신라의 정치, 사회, 종교적 상황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포항 중성리 신라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포항 중성리 신라비 |
원어 이름 | 浦項 中城里 新羅碑 |
국가지정유산 | 국보 |
지정 번호 | 318 |
지정일 | 2015년 4월 22일 |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불국로 132-0 (마동,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
시대 | 신라 |
소유자 | 국유 |
수량 | 1기 |
지도 | 대한민국 |
꼬리표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
문화재청 ID | 11,03180000,37 |
2. 발견 경위 및 장소
포항시 흥해읍 중성리에서 도로 공사를 하던 중 2009년 5월 11일에 처음 발견되었다.[4] 당시 공사장에서 나온 돌들을 한곳에 모아두었는데, 흥해읍 학성리에 거주하는 김헌도(金憲道, 1963년생)가 화분 받침대로 쓰기 위해 이 돌을 가져가려 했다.[4] 이틀 뒤 포크레인을 이용하여 약 10여 미터 거리의 자택으로 돌을 옮겼고, 비에 씻겨 드러난 글자를 확인한 후 경북매일에 근무하는 지인에게 신고하였다.[4]
비의 발견 지점은 경상북도 포항시 흥해읍 중성리 167-1번지(흥해로 82번길 14 인근), 흥해중앙교회 부근이다.[5] 흥해읍은 신라 때 퇴화군(退火郡)이었는데, 경덕왕대에 이름을 의창군(義昌君)으로 고친 뒤 고려대에 흥해군(興海君)으로 다시 바뀐 후 지금까지 그 이름이 이어진다. 1914년에는 행정구역개편으로 흥해면(興海面)이 되었고, 1983년에 흥해읍(興海邑)으로 바뀌었다. 1995년에 행정구역을 조정한 결과 영일군이 포항시에 포함되었다.[5]
흥해읍은 주변이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에 위치하며, 분지 중심에는 서쪽에서 발원한 곡강천(曲江川)이 흘러 동해에 이른다. 흥해읍과 그 주변 지역에는 청동기시대부터 유적이 형성되기 시작하여 이후 성곽, 고분 유적이 다수 등장한다.[5]
포항 냉수리 신라비가 발견된 신광면에서 동쪽으로 약 8 ~ 9 km 떨어져 있다. 흥해읍성 동북쪽 모서리로 추정되는데, 해자 바깥 지점이기도 하다. 예전에 작은 실개천이 흐르는 저습지였던 것을 복토한 곳이다.[5]
비의 원래 위치는 논란이 있는데, 비가 발견된 후 3차례 걸쳐 그 주변을 정밀조사 했지만 비의 조각이나 비와 관련된 시설을 찾지 못했다. 이러한 점을 토대로 발견 장소가 원래 위치는 아니었다고 보기도 하나, 비의 상태와 발견 지점의 특징으로 볼 때 발견지와 건립지가 일치하지 않더라도 서로 멀지 않았을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비의 상태가 전반적으로 양호하기 때문에 오랫동안 서 있었고, 묻힌 이후 계속 그 상태를 유지했다는 것이다. 더불어, 비에 등장하는 분쟁 내용으로 볼 때 건립지는 행정 거점보다 분쟁과 연관된 지역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5]
2. 1. 발견 경위
포항시 흥해읍 중성리에서 도로 공사를 하던 중 2009년 5월 11일에 처음 발견되었다.[4] 당시 공사장에서 나온 돌들을 한곳에 모아두었는데, 흥해읍 학성리에 거주하는 김헌도(金憲道, 1963년생)가 화분 받침대로 쓰기 위해 이 돌을 가져가려 했다.[4] 이틀 뒤 포크레인을 이용하여 약 10여 미터 거리의 자택으로 돌을 옮겼고, 비에 씻겨 드러난 글자를 확인한 후 경북매일에 근무하는 지인에게 신고하였다.[4]2. 2. 발견 장소
비의 발견 지점은 경상북도 포항시 흥해읍 중성리 167-1번지(흥해로 82번길 14 인근), 흥해중앙교회 부근이다.[5] 흥해읍은 신라 때 퇴화군(退火郡)이었는데, 경덕왕대에 이름을 의창군(義昌君)으로 고친 뒤 고려대에 흥해군(興海君)으로 다시 바뀐 후 지금까지 그 이름이 이어진다. 1914년에는 행정구역개편으로 흥해면(興海面)이 되었고, 1983년에 흥해읍(興海邑)으로 바뀌었다. 1995년에 행정구역을 조정한 결과 영일군이 포항시에 포함되었다.[5]흥해읍은 주변이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에 위치하며, 분지 중심에는 서쪽에서 발원한 곡강천(曲江川)이 흘러 동해에 이른다. 흥해읍과 그 주변 지역에는 청동기시대부터 유적이 형성되기 시작하여 이후 성곽, 고분 유적이 다수 등장한다.[5]
포항 냉수리 신라비가 발견된 신광면에서 동쪽으로 약 8 ~ 9 km 떨어져 있다. 흥해읍성 동북쪽 모서리로 추정되는데, 해자 바깥 지점이기도 하다. 예전에 작은 실개천이 흐르는 저습지였던 것을 복토한 곳이다.[5]
비의 원래 위치는 논란이 있는데, 비가 발견된 후 3차례 걸쳐 그 주변을 정밀조사 했지만 비의 조각이나 비와 관련된 시설을 찾지 못했다. 이러한 점을 토대로 발견 장소가 원래 위치는 아니었다고 보기도 하나, 비의 상태와 발견 지점의 특징으로 볼 때 발견지와 건립지가 일치하지 않더라도 서로 멀지 않았을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비의 상태가 전반적으로 양호하기 때문에 오랫동안 서 있었고, 묻힌 이후 계속 그 상태를 유지했다는 것이다. 더불어, 비에 등장하는 분쟁 내용으로 볼 때 건립지는 행정 거점보다 분쟁과 연관된 지역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5]
2. 3. 비의 원 위치 논란
3. 가치
포항 중성리 신라비는 신라사 연구에 획기적인 자료이다. 이 비의 발견 장소가 포항 냉수리 신라비 발견 장소로부터 8.7km 밖에 되지 않는 가까운 거리이며, 비문의 내용 또한 유사점이 많다.[1] 지방민이 관여된 재산 관련 분쟁에 대해 신라 지배층들이 합동으로 판결을 내리고, 판결 이후 문제의 재발 방지를 명시하고 있었다는 점, 관직명과 관등 표기의 유사성 및 포항 냉수리 신라비에 나타나는 인물과 동일인으로 추정되는 인명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당시 신라의 정치, 경제, 문화 내용을 연구하고 확정 지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1]
특히 이 비는 지금까지 발견된 신라비 중에서 그 연대가 가장 앞설 가능성이 매우 높아 신라 서예사를 연구하는 데 획기적인 자료가 될 것이다. 문장 기술이 능숙하거나 세련되지 못한 점으로 보아 당시 신라에서는 중국의 한문(漢文)이 크게 보편화되지 않았음을 추정할 수 있다.[1] 비문의 서체는 중국의 한(漢) 또는 위진(魏晉)시대 서예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굳이 중국 서예 발전 과정 상에서 비추어 본다면, 소전(小篆)으로부터 예서(隸書)로 이행하는 과정 상의 고예(古隸)에 비견하거나, 상하 장방형의 소전체로부터 좌우 편방형의 예서체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잠시 나타났던 파책(波磔)이 없는 고예체에 비견할 수 있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중국의 서체와 서풍에 별로 영향받지 않은, 신라의 자생적, 토속적 서체ㆍ서풍이라 하겠다.[1] 글자의 결구가 불균형의 조화를 이루면서, 토속적이고 서민적인 익살로 넉넉한 여유로움의 자유를 구현하는 무정형(無定形)적 서예 미학을 창출하고 있다. 이는 어느 서체ㆍ서풍만을 고집하지 않고 전법(篆法)ㆍ예법(隸法)ㆍ해법(楷法)은 물론 행법(行法)까지도 두루 섭취ㆍ융합하여 불균형의 조화를 구현하고 있는 신라적 자생 서예라고 할 수 있다.[1]
이 비는 통일신라 이전 신라시대의 심미 의식과 초기 신라 서예사를 밝히는 데 획기적인 자료이며,[1] 통일신라 이전의 역사와 문화 예술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1]
3. 1. 신라사 연구의 획기적 자료
포항 중성리 신라비는 신라사 연구에 획기적인 자료이다. 포항 냉수리 신라비 발견 장소로부터 8.7km 밖에 되지 않는 가까운 거리에서 발견되었으며, 비문의 내용 또한 유사점이 많다.[1] 지방민이 관여된 재산 관련 분쟁, 신라 지배층의 합동 판결, 판결 이후 재발 방지 명시, 관직명과 관등 표기의 유사성, 포항 냉수리 신라비에 나타나는 인물과 동일인으로 추정되는 인명 등을 확인할 수 있다.[1] 이러한 점들을 통해 당시 신라의 정치, 경제, 문화 내용을 연구하고 확정 지을 수 있어 역사적, 학술적 가치가 매우 크다.[1]이 비는 발견된 신라비 중 연대가 가장 앞설 가능성이 높아 신라 서예사 연구에 획기적인 자료가 될 것이다. 문장 기술이 능숙하거나 세련되지 못한 점으로 보아 당시 신라에서는 중국의 한문(漢文)이 크게 보편화되지 않았음을 추정할 수 있다. 비문의 서체는 중국의 한(漢)나라 또는 위진(魏晉)시대 서예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 서예 발전 과정 상에서 보면, 소전(小篆)으로부터 예서(隸書)로 이행되는 과정 상의 고예(古隸)에 비견되거나, 상하 장방형(長方形)의 소전체로부터 좌우 편방형(偏旁形)의 예서체로 이행 과정 상에서 잠시 나타났던 파책(波磔)이 없는 고예체에 비견될 수 있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중국의 서체와 서풍에 별로 영향받지 않은, 신라의 자생적, 토속적 서체ㆍ서풍이라 하겠다. 글자의 결구가 불균형의 조화를 이루면서, 토속적이고 서민적인 익살로 넉넉한 여유로움의 자유를 구현하는 무정형(無定形)적 서예미학을 창출하고 있다. 이는 어느 서체ㆍ서풍만을 고집하지 않고 전법(篆法)ㆍ예법(隸法)ㆍ해법(楷法)은 물론 행법(行法)까지도 두루 섭취ㆍ융합하여 불균형의 조화를 구현하고 있는 신라적 자생서예라고 하겠다.[1]
이 비는 통일신라 이전 신라시대의 심미의식과 초기 신라 서예사를 밝히는 데 획기적인 자료이며,[1] 통일신라 이전의 역사와 문화 예술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1]
3. 2. 초기 신라 서예사 연구의 중요 자료
포항 중성리 신라비는 신라사 연구에 획기적인 자료이다. 이 비의 발견 장소가 포항 냉수리 신라비 발견 장소로부터 8.7km 밖에 되지 않는 가까운 거리이며, 비문의 내용 또한 유사점이 많다.[1] 지방민이 관여된 재산 관련 분쟁에 대해 신라 지배층들이 합동으로 판결을 내리고, 판결 이후 문제의 재발 방지를 명시하고 있었다는 점, 관직명과 관등 표기의 유사성 및 포항 냉수리 신라비에 나타나는 인물과 동일인으로 추정되는 인명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당시 신라의 정치, 경제, 문화 내용을 연구하고 확정 지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1]특히 이 비는 지금까지 발견된 신라비 중에서 그 연대가 가장 앞설 가능성이 매우 높아 신라 서예사를 연구하는 데 획기적인 자료가 될 것이다. 문장 기술이 능숙하거나 세련되지 못한 점으로 보아 당시 신라에서는 중국의 한문(漢文)이 크게 보편화되지 않았음을 추정할 수 있다.[1] 비문의 서체는 중국의 한(漢) 또는 위진(魏晉)시대 서예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굳이 중국 서예 발전 과정 상에서 비추어 본다면, 소전(小篆)으로부터 예서(隸書)로 이행하는 과정 상의 고예(古隸)에 비견하거나, 상하 장방형의 소전체로부터 좌우 편방형의 예서체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잠시 나타났던 파책(波磔)이 없는 고예체에 비견할 수 있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중국의 서체와 서풍에 별로 영향받지 않은, 신라의 자생적, 토속적 서체ㆍ서풍이라 하겠다.[1] 글자의 결구가 불균형의 조화를 이루면서, 토속적이고 서민적인 익살로 넉넉한 여유로움의 자유를 구현하는 무정형(無定形)적 서예 미학을 창출하고 있다. 이는 어느 서체ㆍ서풍만을 고집하지 않고 전법(篆法)ㆍ예법(隸法)ㆍ해법(楷法)은 물론 행법(行法)까지도 두루 섭취ㆍ융합하여 불균형의 조화를 구현하고 있는 신라적 자생 서예라고 할 수 있다.[1]
이 비는 통일신라 이전 신라시대의 심미 의식과 초기 신라 서예사를 밝히는 데 획기적인 자료이며,[1] 통일신라 이전의 역사와 문화 예술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1]
3. 3. 문화 예술 연구 자료
포항 중성리 신라비는 신라사 연구에 획기적인 자료로 평가받는다.[1] 포항 냉수리 신라비와 발견 장소가 8.7km로 가깝고, 비문 내용도 유사점이 많다.[1] 지방민이 관여된 재산 분쟁에 대해 신라 지배층이 합동으로 판결을 내리고, 재발 방지를 명시했다는 점, 관직명과 관등 표기, 동일인으로 추정되는 인명 등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신라의 정치, 경제, 문화를 연구하고 확정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1]특히, 이 비는 현존하는 신라비 중 연대가 가장 앞설 가능성이 높아 신라 서예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1] 비문의 문장 기술이 능숙하지 못한 점으로 보아 당시 신라에서는 중국 한문(漢文)이 널리 보편화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1] 서체 또한 중국의 한(漢)나라 또는 위진(魏晉)시대 서예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1] 중국 서예 발전 과정에 비추어 보면, 소전(小篆)에서 예서(隸書)로 이행하는 과정의 고예(古隸)나, 상하 장방형의 소전체에서 좌우 편방형(偏旁形)의 예서체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났던 파책(波磔)이 없는 고예체에 비견될 수 있다.[1]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중국의 서체와 서풍에 영향을 받지 않은 신라 고유의 자생적, 토속적 서체와 서풍이라 할 수 있다.[1] 글자의 결구는 불균형의 조화를 이루면서 토속적이고 서민적인 익살, 넉넉한 여유로움의 자유를 구현하는 무정형(無定形)적 서예미학을 창출하고 있다.[1] 이는 특정 서체나 서풍을 고집하지 않고 전법(篆法)ㆍ예법(隸法)ㆍ해법(楷法)은 물론 행법(行法)까지 섭취ㆍ융합하여 불균형의 조화를 구현하고 있는 신라적 자생 서예라고 할 수 있다.[1]
이 비는 통일신라 이전 신라시대의 심미 의식과 초기 신라 서예사를 밝히는 데 획기적인 자료이며, 통일 신라 이전의 역사와 문화 예술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1]
4. 내용
중성리 신라비는 당시 왕경인이 현지인으로부터 빼앗았다 한 것을 돌려주라는 판결을 내리고 있다. 분쟁의 결과 조정에서 이를 재판하고, 그 판결을 고지한 내용이라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두지豆智 사간지궁沙干支宮과 일부지궁日夫智宮이 빼앗았다 하는 것을 다시 모단벌牟旦伐과 훼(부) 작민作民 사간지沙干支에게 돌려주라"라는 판결이 내려졌으며, 이후 같은 일이 반복될시 중죄로 다스리겠다는 내용이 적혀있다.[6]
다양한 출신의 다양한 계급의 인물들이 송사에 얽혀있어 당대 관등제를 연구하는데 사용된다.
아래는 부산대학교 선석열의 해석본에 토대를 둔 것이다.[7]
辛巳▨▨中折盧[䒑]▨…▨ |
신사년 (모월)중 절로(折盧)... |
喙部習智阿干支沙喙斯德智阿干支 |
훼부의 습지習智 아간지阿干支, 사훼부의 사덕지斯德智 아간지阿干支가 |
敎沙喙尒抽智奈麻喙部卒智奈麻本牟子 |
사훼부 이추지尒抽智 나마奈麻, 훼부의 본지本智 나마奈麻에 교시하였다. |
喙沙利夷斯利白爭人喙評公斯弥沙喙夷須牟旦 |
훼(부) 사리沙利 이사리夷斯利가 아뢰기를, 분쟁 당사자는 훼(부) 평공 사미, 사훼(부) 이수夷須 모단벌牟旦伐.. |
伐喙斯利壹伐皮末智本波喙柴干支弗乃壹伐金評 |
.. 훼(부) 사리斯利 일벌壹伐 피말지皮末智, 본피훼本波喙 시간지柴干支, 불내弗乃 일벌壹伐 금평金評.. |
▨干支祭智壹伐使人奈蘇毒只道使喙念牟智沙 |
▨간지, 제지祭智 일벌壹伐, 그리고 사인使人인 나소奈蘇와 독지毒只이다. 도사道使인 훼(부) 염모라지念牟智, 사훼(부).. |
喙鄒須智世令于居伐壹斯利蘇豆古利村仇鄒列支 |
.. 추수지鄒須智가 세간의 거벌居伐 일사리壹斯利, 소두고리촌蘇豆古利村 구추열지仇鄒列支 |
干支沸竹休壹金知那音支村卜岳干支走斤壹金知 |
간지, 비죽휴沸竹休 일금지壹金知, 나음지촌那音支村의 복악간지卜岳干支와 주근走斤 일금지壹金知에 명하노니, |
珍伐壹昔云豆智沙干支宮日夫智宮奪尒今更還 |
지난번 이른대로 두지豆智 사간지궁沙干支宮과 일부지궁日夫智宮이 빼앗았다 하는 것을 다시 |
牟旦伐喙作民沙干支使人果西牟利白口若後世更噵人者与重罪 |
모단벌牟旦伐과 훼(부) 작민作民 사간지沙干支에게 돌려주어라. 사인使人 과서모리果西牟利가 이르기를 만약 후세에 다시 말썽을 일으키는 이에게는 중죄를 줄 것이다. |
典書与牟豆故記 |
전서典書 여모두与牟豆가 그런고로 기록한다. |
沙喙心刀哩▨ |
사훼(부) 심도리心刀哩 ▨(새김) |
4. 1. 비문 내용 요약
신사년에 훼부의 습지 아간지, 사훼부의 사덕지 아간지가 사훼부 이추지 나마, 훼부의 본지 나마에게 왕경인이 현지인으로부터 빼앗은 재산을 돌려주라는 내용의 판결을 교시하였다.[6] 두지 사간지궁과 일부지궁이 빼앗은 것을 모단벌과 훼부 작민 사간지에게 돌려주며, 이후 같은 일이 반복될 시 중죄로 다스리겠다는 경고를 내렸다.[6]이 비문에는 다양한 출신과 계급의 인물들이 송사에 얽혀있어, 부산대학교 선석열의 해석본[7]을 토대로 당대 관등제를 연구하는데 사용된다.
4. 2. 비문 해석
부산대학교 선석열의 해석본에 따르면 비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7]辛巳▨▨中折盧[䒑]▨…▨ |
신사년 (모월)중 절로(折盧)... |
喙部習智阿干支沙喙斯德智阿干支 |
훼부의 습지習智 아간지阿干支, 사훼부의 사덕지斯德智 아간지阿干支가 |
敎沙喙尒抽智奈麻喙部卒智奈麻本牟子 |
사훼부 이추지尒抽智 나마奈麻, 훼부의 본지本智 나마奈麻에 교시하였다. |
喙沙利夷斯利白爭人喙評公斯弥沙喙夷須牟旦 |
훼(부) 사리沙利 이사리夷斯利가 아뢰기를, 분쟁 당사자는 훼(부) 평공 사미, 사훼(부) 이수夷須 모단벌牟旦伐.. |
伐喙斯利壹伐皮末智本波喙柴干支弗乃壹伐金評 |
.. 훼(부) 사리斯利 일벌壹伐 피말지皮末智, 본피훼本波喙 시간지柴干支, 불내弗乃 일벌壹伐 금평金評.. |
▨干支祭智壹伐使人奈蘇毒只道使喙念牟智沙 |
▨간지, 제지祭智 일벌壹伐, 그리고 사인使人인 나소奈蘇와 독지毒只이다. 도사道使인 훼(부) 염모라지念牟智, 사훼(부).. |
喙鄒須智世令于居伐壹斯利蘇豆古利村仇鄒列支 |
.. 추수지鄒須智가 세간의 거벌居伐 일사리壹斯利, 소두고리촌蘇豆古利村 구추열지仇鄒列支 |
干支沸竹休壹金知那音支村卜岳干支走斤壹金知 |
간지, 비죽휴沸竹休 일금지壹金知, 나음지촌那音支村의 복악간지卜岳干支와 주근走斤 일금지壹金知에 명하노니, |
珍伐壹昔云豆智沙干支宮日夫智宮奪尒今更還 |
지난번 이른대로 두지豆智 사간지궁沙干支宮과 일부지궁日夫智宮이 빼앗았다 하는 것을 다시 |
牟旦伐喙作民沙干支使人果西牟利白口若後世更噵人者与重罪 |
모단벌牟旦伐과 훼(부) 작민作民 사간지沙干支에게 돌려주어라. 사인使人 과서모리果西牟利가 이르기를 만약 후세에 다시 말썽을 일으키는 이에게는 중죄를 줄 것이다. |
典書与牟豆故記 |
전서典書 여모두与牟豆가 그런고로 기록한다. |
沙喙心刀哩▨ |
사훼(부) 심도리心刀哩 ▨(새김) |
비문의 내용은 왕경인이 현지인으로부터 빼앗은 것을 돌려주라는 판결이다. 분쟁의 결과 조정에서 재판하고, 그 판결을 고지한 내용이다. 최종적으로 "두지豆智 사간지궁沙干支宮과 일부지궁日夫智宮이 빼앗았다 하는 것을 다시 모단벌牟旦伐과 훼(부) 작민作民 사간지沙干支에게 돌려주라"라는 판결이 내려졌으며, 이후 같은 일이 반복될 시 중죄로 다스리겠다는 내용이 적혀있다.[6]
4. 3. 등장 인물 및 관등제
비문에는 다양한 출신과 계급의 인물들이 등장하며, 이들은 송사에 얽혀 있다.[7] 이는 당시 신라의 관등제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6][7]부산대학교 선석열의 해석본에 따르면, 훼부(喙部)의 습지(習智) 아간지(阿干支)와 사훼부(沙喙部)의 사덕지(斯德智) 아간지(阿干支)가 사훼부 이추지(尒抽智) 나마(奈麻)와 훼부의 본지(本智) 나마(奈麻)에게 교시하는 내용이 나타난다.[7] 또한, 훼(부) 사리(沙利) 이사리(夷斯利)가 분쟁 당사자로 훼(부) 평공 사미, 사훼(부) 이수(夷須) 모단벌(牟旦伐) 등을 언급하고 있다. 훼(부) 사리(斯利) 일벌(壹伐) 피말지(皮末智), 본피훼(本波喙) 시간지(柴干支), 불내(弗乃) 일벌(壹伐) 금평(金評) 등이 등장한다.[7]
비문에는 간지, 제지(祭智) 일벌(壹伐), 사인(使人)인 나소(奈蘇)와 독지(毒只), 도사(道使)인 훼(부) 염모라지(念牟智), 사훼(부) 등의 인물들이 등장한다. 추수지(鄒須智)는 세간의 거벌(居伐) 일사리(壹斯利), 소두고리촌(蘇豆古利村) 구추열지(仇鄒列支) 간지, 비죽휴(沸竹休) 일금지(壹金知), 나음지촌(那音支村)의 복악간지(卜岳干支)와 주근(走斤) 일금지(壹金知)에게 명령을 내리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7]
판결문에는 "두지(豆智) 사간지궁(沙干支宮)과 일부지궁(日夫智宮)이 빼앗았다 하는 것을 다시 모단벌(牟旦伐)과 훼(부) 작민(作民) 사간지(沙干支)에게 돌려주라"는 내용과 함께, 사인(使人) 과서모리(果西牟利)가 후세에 다시 분쟁을 일으키는 자에게 중죄를 줄 것이라고 경고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6][7] 전서(典書) 여모두(与牟豆)는 이러한 내용을 기록하였다.[7] 마지막으로 사훼(부) 심도리(心刀哩)가 새긴 것으로 보인다.[7]
이처럼 중성리 신라비는 다양한 인물들과 그들의 관계를 보여줌으로써 신라 사회의 권력 구조와 관등제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5. 국보 승격 사유
포항 중성리 신라비는 2009년 5월에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중성리에서 발견된 현존 최고(最古)의 신라비이다. 모양이 일정치 않은 화강암(花崗巖) 1면에서 전체 12행 20자로 음각(陰刻)된 도합 203자의 비문이 각자(刻字)되어 있다. 비석은 비면 상단부 일부와 우측면 일부가 떨어져 나갔을 뿐 비문의 대부분은 판독이 가능할 정도로 양호한 상태이다.[2]
이 비의 비문은 신라 관등제의 성립과정, 신라 6부의 내부 구조, 신라의 지방통치와 분쟁 해결절차, 궁(宮)의 의미, 사건 판결후 재발 방지 조치 등 신라의 정치적·경제적·문화적 상황을 알려주고 있어 역사적·학술적으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평가되었다.[2]
이 비의 글씨체는 예서로 분류되는데 , 고구려의 광개토대왕비와 통하는 고예서(古隸書)로서 신라 특유의 진솔미를 보여 준다. 가로획에서 수평을 유지하는 가운데 기울기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에서 예서임을 알 수 있으며, 다소 보이는 해서의 필의(筆意)는 단양적성비같은 고해서(古楷書)로 변해가는 전초(顚草)이며 선구가 된다는 점에서, 그리고 냉수리비와 봉평비보다도 더욱 신라스럽다는 점에서 더욱 그 가치가 평가된다.[2]
또한 제작시기도 지증왕 4(503)년의 포항 냉수리 신라비 보다도 2년이나 앞서는 신라 최고의 비이다. 더욱이 제작시기가 늦은 울진 봉평리 신라비 (법흥왕 11, 524)도 이미 1988년에 국보 제242호로 지정되었고, 포항 냉수리 신라비 (지증왕 4, 503)도 1991년에 국보 제264호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2]
따라서 이와 같은 포항 중성리 신라비의 역사적·예술적·학술적 가치에 의거, 현재 보물 제1758호로 지정된 이 비를 국가문화재 국보로 승격 지정하여 연구하고 보존·관리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었다.[2]
5. 1. 역사적 가치
포항 중성리 신라비는 현존 최고(最古)의 신라비이다.[2] 비문은 신라 관등제의 성립 과정, 신라 6부의 내부 구조, 신라의 지방 통치와 분쟁 해결 절차, 궁(宮)의 의미, 사건 판결 후 재발 방지 조치 등 신라의 정치적·경제적·문화적 상황을 알려주어 역사적·학술적으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2]글씨체는 예서로 분류되는데, 고구려의 광개토대왕비와 통하는 고예서(古隸書)로서 신라 특유의 진솔미를 보여준다. 가로획에서 수평을 유지하는 가운데 기울기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에서 예서임을 알 수 있으며, 다소 보이는 해서의 필의(筆意)는 단양적성비같은 고해서(古楷書)로 변해가는 전초(顚草)이며 선구가 된다는 점에서, 그리고 냉수리비와 봉평비보다도 더욱 신라스럽다는 점에서 더욱 그 가치가 평가된다.[2]
제작 시기는 지증왕 4년(503년)의 포항 냉수리 신라비 보다도 2년이나 앞선다.[2] 울진 봉평리 신라비(524년)는 이미 1988년에 국보 제242호로 지정되었고, 포항 냉수리 신라비(503년)도 1991년에 국보 제264호로 지정되었다.[2] 이러한 역사적·예술적·학술적 가치에 따라 포항 중성리 신라비는 국보로 승격되어 보존 및 관리되고 있다.
5. 2. 예술적 가치
포항 중성리 신라비의 글씨체는 예서로 분류되며, 고구려의 광개토대왕비와 통하는 고예서(古隸書)로서 신라 특유의 진솔미를 보여준다.[2] 가로획에서 수평을 유지하는 가운데 기울기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에서 예서임을 알 수 있으며, 다소 보이는 해서의 필의(筆意)는 단양적성비같은 고해서(古楷書)로 변해가는 전초(顚草)이며 선구가 된다는 점, 그리고 냉수리비와 봉평비보다도 더욱 신라스럽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게 평가된다.[2] 이러한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현재 보물 제1758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국가문화재 국보로 승격 지정하여 연구하고 보존·관리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었다.[2]5. 3. 학술적 가치
포항 중성리 신라비는 신라 관등제 성립 과정, 신라 6부 내부 구조, 신라 지방 통치와 분쟁 해결 절차, 궁(宮)의 의미, 사건 판결 후 재발 방지 조치 등 신라 정치·경제·문화적 상황을 알려주어 역사적·학술적으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2] 비문은 예서로 분류되는데, 광개토대왕비와 통하는 고예서(古隸書)로서 신라 특유의 진솔미를 보여준다.[2] 가로획에서 수평을 유지하는 가운데 기울기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에서 예서임을 알 수 있으며, 다소 보이는 해서의 필의(筆意)는 단양적성비같은 고해서(古楷書)로 변해가는 전초(顚草)이며 선구가 된다.[2]제작 시기는 지증왕 4년(503년)의 포항 냉수리 신라비보다 2년 앞서며, 울진 봉평리 신라비(524년)가 이미 국보로 지정되었고, 포항 냉수리 신라비도 국보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는 점에서 국보 승격 지정 가치가 충분하다.[2]
참조
[1]
간행물
"문화재청고시제2012-23호, 《국가지정문화재(보물)지정 및 지정번호 변경》"
http://gwanbo.mois.g[...]
문화재청장
2012-02-22
[2]
간행물
"문화재청고시제2015-50호, 《국가지정문화재 (국보, 보물) 지정》"
http://gwanbo.mois.g[...]
문화재청장
2015-04-22
[3]
간행물
"문화재청고시제2015-55호,《국가지정문화재(보물) 해제》"
http://gwanbo.mois.g[...]
문화재청장
2015-05-01
[4]
웹인용
국보급 추정 신라비석 발견
http://www.kbmaeil.c[...]
2009-05-13
[5]
서적
포항 중성리 신라비
2019
[6]
웹인용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세금 거둘 땅 빼앗다니…', 1500년전 신라인의 판결문 뜯어보니"
https://m.khan.co.kr[...]
2019-07-25
[7]
저널
포항 중성리 신라비의 금석학적 위치
2009-09-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